안녕하세요. 라이징 고조입니다.
오늘은 하모닉 패턴에서 나오는 용어 중 꼭 알아야하는
RETRACEMENT와 PROJEC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용어는 모든 패턴을 공부할 때 항상 등장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알고 가시면 좋을 것 같아 본격적인 시작에 앞어서
기초 파트의 한 부분으로 집어넣었습니다.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RETRACEMENT와 PROJECTION은 어떤 파동의
되돌림 비율을 가지는 세 점 패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RETRACEMENT란?
RETRACEMENT의 사전적 의미는 되돌림입니다.
즉 어떤 파동의 직전 파동에 대한 되돌림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죠.
이때 1 미만의 되돌림 비율을 RETRACEMENT라고 합니다.
하모닉 패턴에서 나오는 RETRACEMENT의 종류에는
0.382비율 RETRACEMENT, 0.5 RETRACEMENT, 0.618 RETRACEMENT, 0.707RETRACEMENT, 0.786 RETRACEMENT. 0.886 RETRACEMENT가 있습니다.
각 RETRACEMENT을 그림으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그림은 A파동에 대한 B,C,D,E,F선의 RETRACEMENT를 나타낸 것 입니다.
보시면 바로 이해하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즉 이전 선에 대한 되돌림 비율을 RETRACEMENT RATIOS라고 말하며
간략하게 (되돌림 비율) RETRACEMENT라고 하는 것이죠.
각각 생각해보면
B선은 0.382 retracement를 나타냅니다.
C선은 0.5 retracement를 나타냅니다.
D선은 0.618 retracement를 나타냅니다.
E선은 0.786 retracement를 나타냅니다.
F선은 0.886 retracement를 나타냅니다.
PROJECTION이란?
PROJECTION은 사전적 의미로 예측, 투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하모닉 패턴에서는
어떤 파동이 직전 파동의 1을 넘어서는 되돌림 비율을 가질 때 명명을 합니다.
제 생각에는 어떤 파동이 직전 파동의 시작점을 넘어서 진행될 때
어디까지 갈 것인가를 예측하는 느낌으로 이름을 지은 것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PROJECTION의 종류에는 1.13, 1.272, 1.618, 2, 2.24, 2.618, 3.618 PROJECTION이 있습니다.
여튼 각 PROJECTION을 그림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다음 그림은 A파동에 대한 B,C,D,E,F,G,H,I선의 PROJECTION을 나타낸 것 입니다.
보시면 바로 이해하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즉 이전 선에 대한 1을 넘는 되돌림 비율을 PROJECTION RATRIOS (프로젝션 비율)라고 말하며
간략하게 (프로젝션 비율)PROJECTION이라고 하는 것이죠.
각각 생각해보면
B선은 1.13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C선은 1.272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D선은 1.414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E선은 1.618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F선은 2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G선은 2.24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수정사항(2.24비율인데 2.272비율로 적었습니다.)
H선은 2.618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I선은 3.618 projection을 나타냅니다.
RETRACEMENT와 PROJECTION
아마 눈치를 채셨겠지만 둘 다 측정방법은 똑같습니다. 그냥 되돌림 비율을 1을 안 넘으면 RETRACEMENT라고 명명하고 되돌림 비율이 1을 넘으면 PROJECTION이라고 명명할 뿐인 것이죠.
정말 간단한 개념이지만 앞으로 계속 나오기 때문에 꼭 두 개의 차이점을 알아두세요!!
왜 세 점 패턴이라고 하는가?
0.618 retracement와 1.618 projection을
예시로 본다면 다음과 같이 세 개의 점으로 만들어지는
패턴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RETRACEMENT와 PROJEC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근데 그래서 저 피보나치 수들은 도대체 뭘 의미하는 걸까요?
어떤 의미를 가지길래 차트에 저 수들을 대입해서 분석을 하는 것일까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피보나치 수의 탄생 배경과 그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모닉 패턴 > 하모닉 패턴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수(3) (2) | 2022.02.06 |
---|---|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수(2) 피보나치 기본 수의 활용 (1)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수 (1) (1)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툴 사용법 (1)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이란? (2)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