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라이징 크립트의 고조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하모닉 패턴에서 꼭 알아야 할
PROJECTION과 RETRACEMENT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근데 그 피보나치 수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오늘은 피보나치 숫자들이
어떻게 탄생하게 됐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 수의 분류
피보나치 수의 종류에는
주요 수(PRIMARY NUMBERS)와
주요 파생 수(PRIMARY DERIVED NUMBERS),
보조 파생 수(COMPLIMENRARY DERIVED NUMBERS)가 있습니다.
주요 수(PRIMARY NUMBERS)에는 0.618과 1.618이 있으며
파생 수에는 주요 파생수(PRIMARY DERIVED NUMBERS) 0.786, 0.886, 1.272, 1.13이
보조 파생수(COMPLIMENRARY DERIVED NUMBERS)는 0.382, 0.5, 0.707 , 1.414, 2.0 ,2.24, 2.618, 3.14, 3.618가 있습니다.
하나 하나씩 그 수의 기원을 알아보겠으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기본 수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주요 피보나치 수(0.618, 1.618)의 탄생 배경
피보나치 수는 중세의 가장 위대한 수학자인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서 발견된 수인 피보나치 수열을 기반으로 합니다.
특히 이 피보나치는 이집트의 대피라미드 연구로도 유명했습니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피보나치 수열에 기반한 하나의 수열을 발견하였습니다. 바로 토끼 문제인데요. 문제는 “각 태어난 한 쌍의 토끼가 성숙하는데 한달이 걸리고 그 후 매달 번식하게 된다면 토끼 한 쌍은 말에 몇 쌍이 될까요?” 입니다.
그 식은 Un+1 = Un+Un-1입니다.
여튼 위의 이야기는 좀 치워두고 이 수열을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즉 1항 = 0 + 1 = 1
2항 = 1 + 1 = 2
3항 = 1 + 2 = 3
4항 = 2 + 3 = 5
5항 = 3 + 5 = 8
6항 = 5 + 8 = 13
7항 = 8 + 13 = 21
8항 = 12 + 21 = 34
...
위 항들을 가로로 나열해보면 다음의 수열이 만들어집니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
이 때 8항 부터는 다음과 같이 수학적 비율 관계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이 수열에서 우리가 가져갈 수 있는 숫자 관계는 전자를 후자로 나누면 0.618이 되는 것과
또한 후자를 전자로 나누면 1.618이 되는 것 입니다. 이때 수학에서는 1.618을 phi라고 합니다.
여튼 여기서 나오는 0.618과 1.618이 바로 피보나치 수의 가장 대표적인 숫자이며 이를
PRIMARY FIBONACCI NUMBERS(주요 피보나치 수)라고 합니다.
0.618과 1.618 비율은
피라미드, 식물, 행성 현상 등등 우주의 곳곳에서 발견이 가능합니다.
이 예시들은 원서 요약 포스팅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탄생 배경이 아니라 차트 적용이니까요.
여튼 우리는 이 비율들을 가지고 차트를 분석할 것입니다.
왜냐면 우리 인간은 자연이고 차트도 자연인 인간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이 비율들이 연관성이 있을거라 생각을 하고 의심하지 않고
대입을 시켜보는 것 입니다. 엘리엇 파동이든 하모닉이든
이런 관점에서 차트를 분석해봤던 것이며
그 분석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 입니다.
자 여기에 retracement와 projection 개념을 같이 생각해본다면
1이하의 비율인 0.618은 0.618 retracement
1 이상의 비율인 1.618은 1.618 projection 패턴이 완성됩니다.
오늘 알게 된 0.618과 1.618은
차트 분석에 매우 중요한 피보나치 수이기 때문에
여기서 하모닉 공부를 마치시길 결심하시더라도
이 두 숫자는 차트 분석에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기본 피보나치 수의 탄생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 기본 수를 활용하는 법을
차트 예시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모닉 패턴 > 하모닉 패턴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수(3) (2) | 2022.02.06 |
---|---|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수(2) 피보나치 기본 수의 활용 (1)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의 기초) RETRACEMENT와 PROJECTION (4)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의 기초) 피보나치 툴 사용법 (1) | 2022.02.06 |
하모닉 패턴이란? (2) | 2022.02.06 |